|
이 선호되었음을 보여준다. 22권 향음조에는
지금 고려인은 걸상 위에 작은 소반을 놓고 제기와 대접은 구리제품을 쓰고 말린 생선과 육포와 생선과 채소를 섞어서 내놓지만 풍성하지 않고 또 주행(酒行, 주법)에도 절도가 없으며 많이 내오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긍(조동원 등 공역), 『고려도경』, 황소자리, 200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증보문헌비고』,동협회, 1996.
강만길,『한국사』, 한길사, 1995.
정용범,「고려시대 中國錢 유통과 주전책-성종·숙종 연간을 중심으로-」,
『지역과 역사』4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봉단을 귀하게 여겨 송나라 조정에서 내린 것 말고도 시중에서 널리 팔리고 있다” 고 했다. 서긍이 말한 납차가 어떤 것인지는 아직 뚜렷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용봉차는 송나라 궁 안에서만 쓰이던 고급차로써 금박을 용봉 무늬로 오려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긍의 견문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4품 이상, 상참 6품 이상, 9품 이상의 셋으로 나누어 3색의 공복을 입었다는 것이다. 복색에 따라 서긍이 진술한 관직들은 대체로 의종대의 공복 규정과도 대부분 부합함이 확인되는데 이런 구조를 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긍에 의해 쓰여진《고려도경》의 기록에 의하면 개성의 집들에 대해 \'왕성(王城)은 비록 컸으나 자갈 산두둑이 있어 지대가 평평하지 못하고 넓지 못하여 백성들은 지형에 따라 집을 짓되 그 높낮이는 벌집이나 개미굴 모양이었다. 띠를
주거의 기원 원시시대 주거, 집과 인간 청동기 시대 주거, [건축역사] 집과 인간의 관계 및 주거의 기원 (원시, 청동기, 철기, 고조선, 고대 사회, 통일 신라, 고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