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에 승하한 해이다. Ⅰ. 머리말
Ⅱ. 서희의 선대
1. 서희의 조부
2. 서희의 부친
Ⅲ. 서희와 자손
1. 서희(서희)
2. 서희의 아들
3. 서희의 손자
Ⅳ. 서희의 후손
1. 서희의 증손
2. 서희의 현손
Ⅴ. 맺는말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희는 뛰어난 외교 능력으로 압록강 동쪽의 강동 6주를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림>>
소손녕 : 고려는 신라의 뒤를 이은 나라이고, 고구려 땅은 우리 영토인데 왜 우리 땅을 넘보는가?
서 희 : 우리는 고구려의 후손이라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6.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의 후신임을 강조 함
③ 송나라의 서긍은 고려를 고구려의 후손이라 함
④ 고려의 북진정책은 고구려 계승 의식을 바탕으로 한다 → 태조 왕건이 평양을 서경으로 함, 서희가 소손녕과의 대화 속에서 고구려의 후손임을 강조함.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손들이 점차 주역의 자리를 차지한다. 서희의 두 아들 윤국과 환국, 용이의 아들 홍이, 조준구의 아들 꼽추 조병수 등이 소설의 전면으로 나온다. 이와 함께 3,4부에 오면 새로운 인물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대부분 인텔리 계층으로 작가는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손들이 세운 나라라는 것이다. 하지만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했음을 국호로 나타냈고, 건국 초부터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고려 사람들은 고구려 후손이라는 데에 매우 큰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서희 장군과 소손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