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대과정 이론(opponent process theory)
신경절세포 - 4 종류(그림 6.16)
망막의 색채부호화 : 그림 6.17 시 자극
시각계의 해부
망막에서의 시각정보 부호화
시각정보의 분석: 선조피질
시각정보의 분석: 시각연합피질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질-선조체-담창구 (흑질, 시상복측핵)-시상-전두엽의 회로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신경망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변연계, 시각계, 청각계, 기억계, 소뇌 등 뇌의 다른 부위의 모델이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이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조(striatum)와 대뇌피질에 병변이 있으나 창백핵(GP)이나 시상(thalamus)의 병변으로 인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뇌성마비(cerebral palsy) 환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3.무도병(chorea):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는 불수의적 운동이 마치 목적이 있는 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조체로 가는 신경섬유에서 유리된다.
② GABA : 선조체에서 담창구 및 흑질로 가는 신경섬유에서 분비되며 이들은 신경세포에 억제성으로 작용하여 무의미하고 불필요한 행동에 대해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③ 글루타메이트 : 대뇌피질에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조와 대뇌피질손상에 있으나 창백핵이나 시상의 병변으로 유발되는 경우도 있음
무도병(chorea)
-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 운동이 마치 목적이 있는 운동처럼 활기 있고 우아한 연속적인 동작으로 나타남.
- 대부분 무도병은 저긴장증이 동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