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시풍속과 우리 음식, 한림출판사 Ⅰ. 개요
Ⅱ.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의미
Ⅲ.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역사
Ⅳ.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음식
Ⅴ. 섣달그믐날(섣달그믐, 제석)의 지역별 풍습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섣달그믐과 연계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지역과 가정에서 섣달그믐날부터 새해맞이 준비를 하는 것은 물론, 일부에서는 기념의례인 차례를 위한 음식을 이날 차려 다음날인 설날에 차례를 지내거나, 그믐날 차린 음식 중 주식인 떡국이나 밥(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1.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석 전날 대포의 임금인 연종포를 쏘고 징과 북을 울리며 대나(大儺: 역질 귀신을 쫓는 행사)의 풍속이 있다. 민가에서는 다락, 마루, 방, 부엌, 외양간, 변소까지 온 집안을 환하게 등잔을 켜 놓고 밤잠을 자지 않는 수세 풍속이 있다. 붉은 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섣달 그믐 : 12월 말일을「섣달 그믐」이라 하고, 그믐날 밤을「제석(除夕)」또는「제야(除夜)라고 한다. 한 해의 마침으로서 덜리는 밤이라 함이니 연중의 거래 관계는 이날에 청산을 하며, 각 가정에서는 새해의 준비와 연중 거래의 주고받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섣달 그믐
12월 말일을 「섣달 그믐」이라 하고, 그믐날 밤을 「제석」또는「제야라고 한다. 한 해의 마침으로서 덜리는 밤이라 함이니 연중의 거래 관계는 이날에 청산을 하며, 각 가정에서는 새해의 준비와 연중 거래의 주고받는 일로 분주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