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시풍속. 김명자. 민속원. 2005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한 유아 전통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오춘자. 우석대학교. 2002
한국 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안혜숙. 신정. 2002
한국의 세시풍속. 황헌만. 학고재. 2001
♣목 차♣
1. 정월 p.1
2. 2월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을 절기
입추(立秋) : 8월 7일 또는 8일로써 가을의 시작을 의미한다.
처서(處署) : 8월 23일 또는 24일로써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큼을 의미
세시풍속으로는 칠석고사, 백중날, 백중놀이, 호미씻이, 우란분재, 두래길쌈
백로 (白露) : 9월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5.05.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시기에는 이러한 풍습을 \'용알뜨기\'라고 하고 대보름날 풍속으로 기록하고 있다. 용의 알을 먼저 떠간 사람이 그 표시로 지푸라기를 잘라 우물에 띄워두면 다음에 온 사람은 용의 알이 있을 딴 우물을 찾아가게 된다. 그리고 이날 머리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시풍속
1. 삼월 삼짓날
1) 삼월 삼짇날의 어원
2) 삼월 삼짇날의 유래
3) 삼월 삼짇날의 풍속
4) 삼월 삼짇날의 시절음식
2. 한식
1) 한식의 어원
2) 한식의 유래
3) 한식의 풍속
3. 사월 초파일
1) 사월 초파일의 유래
2) 사월 초파일의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08.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의 세시풍속」,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1997.
2. 박 성석,「현대 사회의 세시 풍속에 살아남은 전통성의 변모 양상」, 경남: 경상 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1999. * 24절기의 정의및 내용
* 월별 농사력과 세시풍속
* 참고자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3.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