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6건

성당시 특징 * 성당시 감상 (7) 過/香積寺(과향적사): 향적사를 지나다 (8) 鹿 柴(녹 채): 사슴울타리가 아니라 왕천의 지명(왕유의 별장이 있는 곳.) (9) 春 曉(춘 효) : 봄의 새벽, 봄 아침. (10) 黃鶴樓(황학루): 湖北省 武昌縣 황옥기 (11) 出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성당시 연구 > 류성준, 국학자료원 <당대 칠언율시 연구 > 김준연, 역락 <이백 두보를 만나다> 다카시마 도시오 지음, 심산출판사 <韓中詩의 比較文學的硏究> 이창룡, 일지사 <牧隱의 漢詩硏究> 조용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성당시 1) 성당시(713~755) 2) 성당의 특징 ☞ 자연시파 1) 왕유(王維)(701-761) 2) 맹호연(孟浩然)(689-740) ☞.변새시파(邊塞詩派) - 잠고시파(岑․高詩派) 라고도함 1) 잠 삼(岑參) (715-770) 2) 고 적(高適) (702?-765) 3) 왕창령(王昌齡)(698-757) 4)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창작배경 ? 이 시는 안사지란(安史之亂)이 일어난 다음해(至德 ? 元年: 756) 지은 것이다. 이 해 6월에 장안이 안록산의 반란군에게 함락되고, 현종(玄宗)이 촉(蜀) 땅에 피난가고 7월에 아들 숙종(肅宗)이 왕위에 올라있었다. 이 때 두보는 가족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21.04.0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써낼 수 있는 것을 입신이라고 제시한 것이다. 엄우는 흥취 중심의 시관은 피력한 것이 전례 없이 특이하고 , 또 그러한 시관에 입각해서 북송과 남송의 이름난 시인들을 비판해 낸 것이 이채롭다. 성당시를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받드는 엄우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