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濁林鐘爲下五 下四下五 所謂倍濁聲也
중려가 하일이 되고 태주가 하이가 되고 황종이 하삼이되고 탁무역이 하사가 되고 탁임종이 하오가 되니 하사 하오는 이른바 배탁성이라
以中國五調音之 則平調乃徵調 徵聲爲主 界面調爲羽調 羽聲爲主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조에 가서 16정간을 1행으로 고쳐지게 된다.
정간보는 음의 시가만을 적는 기보법 이어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율자보와 오음약보 등과 함께 쓰인다. 그래서 세종 대에는 정간보에 율자보를 함께 사용했지만, 세조 이후의 정간보에는 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0.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록 朝鮮王朝實錄』
2. 단행본
『세종의 국가경영』, 김영수, 교재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이한우
3. 네이버 백과사전 1. 서 론
2. 본 론
1) 세종대왕의 음악
2) 당시의 음악가 박연
1. 박연의 소개
2. 박연의 일화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보」에 수록된 「쌍화곡」으로 이 「쌍화곡」에서는 ‘쌍화’를 ‘쌍으로 핀 꽃’으로 해석하여 임금의 복덕을 칭송하였다.
「쌍화점」에 대한 기록으로는 「성종실록」 권240 성종 21년 5월의 “이에 와서 서하군, 임원준, 유자광, 판윤,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 종묘제례악, 악장과 일무가 동시에 연행된다.
▣ 참고문헌
문화재청 종묘 http://jm.cha.go.kr/
서울 6백년사 http://seoul600.visitseoul.net/
종묘대제 http://www.jongmyo.net/ 1. 들어가는 말
2. 종묘의 개관
3. 종묘의 건설
4. 종묘의 특징
5. 종묘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