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濁林鐘爲下五 下四下五 所謂倍濁聲也
중려가 하일이 되고 태주가 하이가 되고 황종이 하삼이되고 탁무역이 하사가 되고 탁임종이 하오가 되니 하사 하오는 이른바 배탁성이라
以中國五調音之 則平調乃徵調 徵聲爲主 界面調爲羽調 羽聲爲主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조이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정대업11곡, 보태평11곡으 로 고정됨(황종궁계면조,황종궁평조)
③정대업과 보태평은 『세종실록』악보,『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속악원보』에 전함
『세종실록』악보의 정대업, 보태평은『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夫時樂十二篇開元遺聲 非古樂也 釋尊樂譜七宮亦難盡信
대개 시악의 12편은 당나라 개원때 전래된 음악이지, 고악이 아니고, 석전악보 17곡도 다 믿기 어렵다.
然此二譜之外更無可據 故於儀禮時樂 取純用七聲小雅六篇二十六宮 演爲三百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악원 악사들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다. 현재는 5월 초 첫 일요일에 종묘대제에서 종묘제례악, 악장과 일무가 동시에 연행된다.
▣ 참고문헌
문화재청 종묘 http://jm.cha.go.kr/
서울 6백년사 http://seoul600.visitseoul.net/
종묘대제 http://www.jongmyo.net/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조에 가서 16정간을 1행으로 고쳐지게 된다.
정간보는 음의 시가만을 적는 기보법 이어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율자보와 오음약보 등과 함께 쓰인다. 그래서 세종 대에는 정간보에 율자보를 함께 사용했지만, 세조 이후의 정간보에는 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0.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