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夫時樂十二篇開元遺聲 非古樂也 釋尊樂譜七宮亦難盡信
대개 시악의 12편은 당나라 개원때 전래된 음악이지, 고악이 아니고, 석전악보 17곡도 다 믿기 어렵다.
然此二譜之外更無可據 故於儀禮時樂 取純用七聲小雅六篇二十六宮 演爲三百一十二宮以備朝會之樂 於釋奠樂譜取純用七聲十二宮 演爲一百四十四宮以備祭祀之樂
그러나 이 두 악보 밖에는 의거할 것이 없기 때문에, 의례시악에서는 7음만 순용한 소아 6편의 26곡을 취하여, 그것을 <각각 12조로> 풀어서〔移調하여〕312곡을 만들어 조회악으로 준비하였고, 석전악보에서는 순수히 7음만 쓴 12곡을 취아여, 그것을 <12조로> 풀어서 144곡을 만들어 제사악으로 갖추어 놓았다.
黃鐘之宮則皆用正聲 餘宮幷用四淸聲以爲樂譜二帙 又寫儀禮時樂釋奠樂譜一通別爲一帙 以俟後日知音子之參考
황종궁은 모두 정성만 쓰고, 나머지 궁은 모두 네 청성을 써서 악보 두 질을 만들었다. 또 의례시악과 석전악보 한통을 베껴서 따로 한 질을 만들어 후일 음악을 아는 사람의 참고를 기다린다.
惜其樂書殘缺 譜法不傳 所以有樂崩之嘆也
음악책이 잔결하고, 보법이 전해지지 않은 것은 아까우니, 악이 무너졌다는 한탄이 있는 소이(所以)이다.
古樂旣不可復見矣 若其求黃鐘於聲氣之元 制二十八聲 大小尊卑不相奪倫 朱子蔡氏志少伸於千載之下 則必不能無待於聖朝焉
고악은 다시 찾아 볼 수 없으나, 그 황종의 음을 성기지원(聲氣之元)에서 구하고, 거기서 28음<正聲 12, 正半聲 8, 變正聲 3, 變半聲 5>을 만들어, 대소 존비가 문란하지 아니하여, 주자와 채원정의 뜻이 천년 후에 펴게 된 것은 성조를 기다리지 않고서는 못하였을 것이다.
대개 시악의 12편은 당나라 개원때 전래된 음악이지, 고악이 아니고, 석전악보 17곡도 다 믿기 어렵다.
然此二譜之外更無可據 故於儀禮時樂 取純用七聲小雅六篇二十六宮 演爲三百一十二宮以備朝會之樂 於釋奠樂譜取純用七聲十二宮 演爲一百四十四宮以備祭祀之樂
그러나 이 두 악보 밖에는 의거할 것이 없기 때문에, 의례시악에서는 7음만 순용한 소아 6편의 26곡을 취하여, 그것을 <각각 12조로> 풀어서〔移調하여〕312곡을 만들어 조회악으로 준비하였고, 석전악보에서는 순수히 7음만 쓴 12곡을 취아여, 그것을 <12조로> 풀어서 144곡을 만들어 제사악으로 갖추어 놓았다.
黃鐘之宮則皆用正聲 餘宮幷用四淸聲以爲樂譜二帙 又寫儀禮時樂釋奠樂譜一通別爲一帙 以俟後日知音子之參考
황종궁은 모두 정성만 쓰고, 나머지 궁은 모두 네 청성을 써서 악보 두 질을 만들었다. 또 의례시악과 석전악보 한통을 베껴서 따로 한 질을 만들어 후일 음악을 아는 사람의 참고를 기다린다.
惜其樂書殘缺 譜法不傳 所以有樂崩之嘆也
음악책이 잔결하고, 보법이 전해지지 않은 것은 아까우니, 악이 무너졌다는 한탄이 있는 소이(所以)이다.
古樂旣不可復見矣 若其求黃鐘於聲氣之元 制二十八聲 大小尊卑不相奪倫 朱子蔡氏志少伸於千載之下 則必不能無待於聖朝焉
고악은 다시 찾아 볼 수 없으나, 그 황종의 음을 성기지원(聲氣之元)에서 구하고, 거기서 28음<正聲 12, 正半聲 8, 變正聲 3, 變半聲 5>을 만들어, 대소 존비가 문란하지 아니하여, 주자와 채원정의 뜻이 천년 후에 펴게 된 것은 성조를 기다리지 않고서는 못하였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