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夫時樂十二篇開元遺聲 非古樂也 釋尊樂譜七宮亦難盡信
대개 시악의 12편은 당나라 개원때 전래된 음악이지, 고악이 아니고, 석전악보 17곡도 다 믿기 어렵다.
然此二譜之外更無可據 故於儀禮時樂 取純用七聲小雅六篇二十六宮 演爲三百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종실록』악보『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속악원보』등에 전하며, 불규칙한 장단으로 연주되지만 본래는 16박을 단위로 하는 규칙적인 장단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같이 불규칙한 장단으로 변한 이유는 음악이 의식절차에 종속되어 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악보로 나누어 개관해 보고자 한다.
1. 악보와 악서 편찬
1) 세종조와 세조조의 악보 편찬 : 세종조의 악보 편찬에 이어서 세조 때 다시 오음약보와 16정간보라는 새로운 기보법에 의하여 악보가 편찬되었으니 세조실록 권48과 권49에 전하는 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종대왕이란 인물과 그 시대의 상황에 대하여 자세히 배우고 또한 스스로 분석하는 좋은 시간을 갖게 되어 유익하였습니다. 한 학기 동안 많은 가르침 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문헌자료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종은 율려신서도 형식만 갖추어 놓은 것 뿐이라고 ‘판단’한 뒤, 율려신서의 여러 이론 중 세종실록 아악보에 수록된 “아악십이궁칠성용이십팔성(雅樂十二宮 七聲用二十八聲)”과 “십이궁칠성용십육성(十二宮七聲用十六聲)” 선별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