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정음의 창제
옛 소리 추정
1)「ㅸ」
2)「ㆆ」
3)「ㅿ」
4)「·」,「ㆎ」
5) 병서와 「ㅅ」끝소리
6) 「ㅇ」와 「ㆁ」
7) 「ㅓ」(ㅕ, ㅝ)
8) 「ㅚ, ㅐ, ㅟ, ㅔ, ㅒ, ㅖ, ㆉ, ㆌ, ㅙ, ㅞ, ㆎ」
9) 「ㅅ(ㅆ), ㅈ(ㅉ), ㅊ」
10) 「ㄹ」의 사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습하고 각 글자가 내는 소리값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모래 글자와 이동글자를 이용하는 활동을 통해서 글씨쓰기 연습하도록 소리값의 인식을 돕는다.
6) 읽기의 강화
소리값을 이해한 유아가 보다 능숙하게 읽을 수 있도록 읽기 연습을 위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값에 대한 규정이 필요함을 설명하자면, 서울말의 모음 /ㅓ/는 장단에 따라 소리값의 차이가 많이 난다. 단모음 /ㅓ/는 제2차 기본 모음 6번[Λ]에 유사한 소리이고 긴 /ㅓ:/는 혀의 위치가 높고 중앙 모음 쪽으로 전진한 모음이어서 이 두 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들은 현대에 와서 모두 된소리로 발음되고 있으므로 된소리로 읽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5. 중모음의 소리값과 변화
1) 중모음에는 이중 모음과 삼중 모음이 있으나, 이중 모음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중모음을 대표하는 일이 많다. 이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리값 및 비슷한 홑홀소리끼리의 소리값의 차이, 홀소리 길이의 다름, 닿소리의 소리값 등 판별할 수 있을 때까지 성음표본을 통해 청각적인 훈련을 하는 단계이다.
다음 단계는 발음 훈련이다. 이 단계는 발음지도의 가장 중요한 단계로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