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장경을 완성하였다. 이 속장경 역시 몽고군의 침입으로 인하여 흥왕사에서 소실되었다. 지금은 속장경의 인본이 역시 일부 전해지고 있다.
몽고의 침입을 당한 고려 조정은 강화도에서 다시 대장경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늘날 해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에서 사용하는 화폐주조 건의
1096년 속장경 간행
1097년 천태종 개창
의천의 속장경은 고려의 3대 대장경의 하나로 이야기가 되고 있는데
고려의 3대 대장경은 거란의 침입당시에 제작된 초조대장경과 의천의 속장경 그리고 몽고의 침입당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종 때에는 6,000여 권에 달하는 초조대장경판을 제작하기 시작(1011)하여 마침내 선종 때 완성하였다(1087). 초조대장경이 간행되고 얼마 후 대각국사 의천은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고4,700여 권의 속장경을 간행하기 시작하여 숙종 때 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장경(卍字續藏經)
일본에서 1902년에 착수하여 1912년에 150책으로 완성시킨 대장경으로, 대일본속장경(大日本續藏經)이라고도 한다. 이 대장경에는 중국 찬술문헌이 총망라되어 있기 때문에 중국 불교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 남전대장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장경
3.5 고려재조대장경판(高麗再彫大藏經板)
4. 경판에 사용한 나무
4.1 산벚나무류 - Prunus sp.
4.2 돌배나무류 - Pyrus sp.
4.3 자작나무류 - Betula sp.
5. 자작나무와 대장경판
6. 경판의 현황과 보존상태
6.1 경판의 치수와 무게
6.2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7.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