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된다고 주장한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자극 반응이론(stimulus response theory)이라고도 부르는 이유가 여기 있다. 이 범주에 속하는 이론가들은 파블로프(Pavlov), 쏜다이크(Thorndike), 왓슨(Watson), 스키너(Skinner) 등이다. 이에 반해, 인간은 본질적으
행동이론
헐(Hull)의 행동이론은 파블로프(Pavlov)와 손다이크(Thorndike)의 많은 영향을 받으면서 우드워어드(R. S. Woodworth, 1869-1962)가 제기한 자극(S)-유기체(O)-반응(R)의 형식을 도입하였다.
행동은 외재로부터 주어진 자극에서 시작되고 유기체가
행동. 서울 : 법문사.
2. Gordon R. Foxall and Ronald E. Goldsmith(1996). 소비자 심리학. 서울. 율곡출판사
3. 이학식(2000).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적 행동이론의 평가와 대안적 견해. 소비자학연구. 한국소비자학회.
4. 하영원(2000). 소비자 의사결정.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