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속편(通俗篇)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도 있다. '《도장(道藏)》에 수록된 5000여 권 가운데 《도덕경(道德經)》 2권만 진본이고 나머지는 모두 당말 오대(五代) 때의 도사(道士) 두광정(杜光庭)이 지은 것이다. 그러므로 그후부터 다른 사람의 작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사공주열전 연국장공주초적미복덕 복덕졸 재적고회덕 시공주재초사 확유증거 차재명계건륭원년사.
송사의 공주열전에 연국장공주는 초기에 미복덕에게 시집가서 복덕이 죽어서 다시 고회덕에게 시집가니 공주가 재혼한 일이며 확실한
|
- 페이지 4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꼬리는 크게 되려고 근심을 흔들지 않으니 날에 화가 혼란하며 어느 시기에 멎겠는가?
誰知杯酒成良策,盡有兵權一旦收。
수지배주성양책 진유병권일단수.
누가 술잔의 술이 좋은 계책을 이루어 모두 병권을 하루 아침에 거둘지 알겠는가?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을 끝내서 다른 사람에게 사로잡힘을 면하려고 했다.
匡胤乃暫令停攻,列陣待着。
광윤잠령정공 열진대착.
조광윤이 잠깐 공격을 멈추라고 명령하며 진을 배열하고 기다렸다.
約過半日,果然城門開處,擁出許多唐兵,皇甫暉、姚鳳出城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자는 취하지 않는다. 송사통속연의 제 7회 이중진이 불굴속으로 던지고 송나라 태조는 술잔으로 병권을 놓아주다
제 8회 군사를 보내 남쪽을 함락하며 형주와 상수를 평정하며 눈을 무릅쓰고 저녁에 와서 파촉 정벌함을 상의하다.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