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쓰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종성이 없는 한자어의 경우 음가 없는 ㅇ을 종성에 표기함.
예) 字, 世솅宗
-중국음 중 입성자(급격하게 끝나는 음)를 표기하기 위해서 여린히읗(ㆆ)을 사용함.
예) 不相流通 1. 국어사 개관
2. 중세국어 음운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론적으로는 홑홀소리끼리의 교체, 겹홀소리와 홑홀소리의 교체 등이 있으나, 표기에서 일어나는 이 현상들은 어떤 규칙에 의한다기보다는 착각이거나 습관, 발음의 오류에서 기인한다.
(2) ㄱ ① ㅏ → ㅑ : Ⅰ. 서론
Ⅱ. 한글(우리말
한글 훈민정음, 우리말 우리글, 한글(우리말, 우리글) 특징, 한글(우리말, 우리글) 원리, 한글(우리말, 우리글) 장점, 한글(우리말, 우리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능 때 1, 2 문제 나오는 것으로 별것 아닌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내가 대학교 들어와서 직접 공부하다 보니 이게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었다. 우리나라 문법이 그렇게 많은 규칙이 있는지도 몰랐고 국어를 전공해서 선생님이 되겠다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와 같이 성조로서 의미분화하는 언어를 성조언어라 한다.
현대국어의 경우〈표준발음법〉에서는 음장만을 인정하고 있다. 음장이 음운론적 기능을 한다. 즉 소리의 지속적인 길이인 음장이 의미차를 일으키는 운율적 자질로 기능한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1995
ㄴ 첨가 현상의 개념
ㄴ 첨가는 합성어와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말음이 자음이고 뒤에 오는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 [i]나 [ya, y, yo, yu]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n’을 삽입하여 ‘nyi, nya, ny, nyo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