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경음 비읍 ‘ㅸ’이 고려시대에도 존재했다고 결론을 내린다.
* 참고문헌 *
성환갑, 『국어사 요목』,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7
조규태, 「여린 비읍(ㅸ)에 대하여」, 한글학회, 한글 240호·241호, 1998
서영석, “순음의 음운론적 연구(2)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순경음(脣輕音)이 그것인데 ‘ · ·槐· ?’ 등이 있었다. 이것도 28자모에는 들지 않은
것으로 그 중 ‘ ’은 순수한 국어 단어 표기에 사용되었고 그 밖의 것은 중국음 표기(홍
무정운 역훈 등)에서만 사용되었다. 이렇게 보면 훈민정음 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순경음 ' '이 쓰이지 않으나 오직 하나의 예외로 '瑯 (礫)'이 있다. 사잇소리가 일반적으로'ㅅ'으로 통일되어 표기된다.
주격형(主格形)의 표기에서는 '如來ㅣ 義ㅣ 對ㅣ'와 같이 'ㅣ'로 끝난 체언에 주격조사 'ㅣ'를 쓰고 있는 것이 특이한데 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순경음(脣輕音)이 그것인데 ‘가 ·ㅱ ·ㆄ · ㅹ ’ 등이 있었다. 이것도 28자모에는 들지 않은 것으로 그 중 ‘가’은 순수한 국어 단어 표기에 사용되었고 그 밖의 것은 중국음 표기(홍무정운 역훈 등)에서만 사용되었다. 이렇게 보면 훈민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순경음(脣輕音)이 그것인데 ‘가 ·ㅱ ·ㆄ · ㅹ ’ 등이 있었다. 이것도 28자모에는 들지 않은 것으로 그 중 ‘가’은 순수한 국어 단어 표기에 사용되었고 그 밖의 것은 중국음 표기(홍무정운 역훈 등)에서만 사용되었다. 이렇게 보면 훈민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