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러지해체 ( Deflocculation )
1) 현상
활성슬러지 플럭이 해체되어 물속에 분산되므로 슬러지침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부유현탁되어 처리수의 탁도가 크게 상승한다. 방류수의 SS 농도가 높고 많은 세균이 방류수에 포함되므로 침전조를 통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슬러지가 과도하게 산화되어 폐수중에 용해된 질산염 중의 O2를 질산화세균이 이용하여 N2가스와 CO2가스의 기포로 만들어 슬러지 밀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 활성슬러지가 해체되면서 침전조 액면에 부상하는 경우가 있다.
- 침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체시이다.
8) 슬러지가 팽화할 때 나타나는 생물
a. 사상균에 의한 팽화
① Sphaerotilus
Sphaerotilus는 일종의 담을 갖는 세균으로서 그 담안에는 다수의 간균이 있다. 이 간균은 염색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다. Sphaerotilus는 분기하기 때문에 분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3.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체현상의 원인
· 유해물질의 유입
· 적은 BOD부하에서 생물밀도 과다(슬러지부하 0.1이하)
· 높은 BOD부하에서 생물밀도 과소(슬러지부하 0.4이상)
· MLVSS가 적어져서 포기조의 공기공급 과잉
· 아메바, 소형편모충류 등의 특수한 원생동물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슬러지 해체를 유발
투시도 저하 처리효율 저하시킴
(3) 제어 지표
슬러지 지표(Sludge Index): SVI 및 SDI
SVI(Sludge Volume Index 슬러지 비체적, mg/l)
-슬러지의 침강성과 농축성을 나타내는 지표
-활성 슬러지 1 를 임호프(Imhoff)나 실린더에 30분간 정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