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습윤토와 건조토의 흙의 중량을 측정할 때 조그만한 흙의 입자가 떨어져서 오차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오차를 최대한 줄이려고 소수 셋째자리까지 측정해서 기록했습니다. 또한 습윤토를 노건조 시키기 전에 이틀 동안의 대기기간이 있었는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t Hole에 채운 표준사의 무게 및 부피
각각 시험전의 ‘시험기+표준사’ 및 ‘시험기+남은 모래’ 무게
각각 Test Hole에서 파낸 ‘습윤토’ 무게 및 현장에서 측정한 함수비
각각 실내다짐의 최대 건조밀도 및 상대 다짐도
4. Data sheet 작성
⑴ 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습윤토 WW
33.47
34.29
46.31
38.95
54.16
45.39
캔+건조토 DW
33.2
33.71
44.1
37.5
50.5
42.91
Ws, g
4.2
8.83
19.25
11.96
23.07
15.91
Ww, g
0.27
0.58
2.21
1.45
3.66
2.48
w, %
6.4286
6.5685
11.4805
12.1237
15.8648
15.5877
6.4985
11.8021
15.7262
(3) 다짐 곡선 작도 ; 2.7 , mold 무게() 7826g
시험 공시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습윤토를 건조로에서 수분을 증발시켜서 증발 전ㆍ후의 흙 무게 차이를 측정하여 흙에 함유된 건조토와 수분의 무게비(比)를 정량적으로 표현한다.
3.기계, 기구 및 재료
① 저울 : 200g (감도 : 0.01g) 1Kg(감도 0.1g)
② 건조로(Drying oven) : 105±5℃ 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두 동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험 결과는 1번과 2번이 무려 0.183(%)의 오차가 생겼다. 이러한 차이가 왜 나타났는지에 생각해보았다. 그 이유로 첫 번째는 사용한 습윤토 전체가 균일하게 같은 Void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