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시험 함수비시험(KS F2306) A+자료 (논문형식)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시험 함수비시험(KS F2306) A+자료 (논문형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이론적 배경 ____________(p.3)
2. 개요 및 목적 ___________(p.4)
3. 기계기구 및 재료________(p.4)
4. 준 비 물 _______________(p.4)
5. 시 험 순 서 ____________(p.5)
6. 주 의 사 항 ____________(p.7)
7. 함수비 시험 (추가)설명 __(p.8)
8. 시험결과 및 데이터 ______(p.11)
9. 데이터 해석 ____________(p.13)
10. 고 찰 ___________(p.16)
11. 사 진 자 료 ___________(p.16)
12. 참 고 문 헌 ___________(p.18)

본문내용

시험
(KS F2306)
학교명: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지은이: 윤석민
키워드
[물의단위중량, 건조토의 중량, 함수비]
- 목 차 -
1. 이론적 배경 ____________(p.3)
2. 개요 및 목적 ___________(p.4)
3. 기계기구 및 재료________(p.4)
4. 준 비 물 _______________(p.4)
5. 시 험 순 서 ____________(p.5)
6. 주 의 사 항 ____________(p.7)
7. 함수비 시험 (추가)설명 __(p.8)
8. 시험결과 및 데이터 ______(p.11)
9. 데이터 해석 ____________(p.13)
10. 고 찰 ___________(p.16)
11. 사 진 자 료 ___________(p.16)
12. 참 고 문 헌 ___________(p.18)
1. 이론적 배경
젖은 흙에 함유된 수분을 110±5℃의 건조로(Dry Oven)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증발된 수분중량을 마른 흙의 중량에 대한 중량비로 표시하여 흙의 함수량을 측정하고 백분율로 표시하여 함수비를 구한다.
2. 개요 및 목적
흙은 흙 입자, 물, 공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함수량에 따라 흙의 물리적, 역학적 성질이 달라진다. 흙의 제 시험의 기준이 되고 있는 함수량은 함수비로 표시되며 습윤토를 건조로에서 수분을 증발시켜서 증발 전ㆍ후의 흙 무게 차이를 측정하여 흙에 함유된 건조토와 수분의 무게비(比)를 정량적으로 표현한다.
3.기계, 기구 및 재료
① 저울 : 200g (감도 : 0.01g) 1Kg(감도 0.1g)
② 건조로(Drying oven) : 105±5℃ 또는 75±5℃ 로 24시간 이상 유지가능
③ 데시게이터(Desicator) :
KS L236에 규정된 D-240~300mm정도로서 실리카 겔이나 염화칼슘 따위의 흡습제가 들어 있는 것.
④ 함수비 통 3개
⑤ 용기집게
⑥ 면장갑
4. 시험순서
① 1회의 시험에 함수비 용기 3개를 택해서 번호(Can No.)와 무게(Tw)를 기록산다.
② 용기에 습윤토를 담아서 용기+습윤토 무게(Ww)를 잰다. 시료의 중량은 따로 지정하지 않는 한 10~15g이 좋다.
③ 건조로에 105±5℃로 18시간 이상 건조시킨다.
④ 노건조한 시료를 데시게이터에 넣어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히고 건조 흙 과 용기의 중량(Dw)를 측정한다. (시험에서 생략함)
⑤ 측정값의 정리 및 계산을 한다.
5. 주의 사항
① 시료의 표면 부근은 마르기 쉬우므로 시료내부의 건조되지 않은 부분에서 대표적인 시료를 취한다.
② 저울도 오차가 있으므로 무게는 동일한 저울로 재야한다.
③ 2개 이상의 평균을 함수비(%)로 하여 소수점 두 자리까지 표기한다.
* 데이터 오류의 방지
④ 유기질 토는 연소하기 때문에 시료의 건조는 80℃이하의 온도에서 장시간 건조 시켜야 한다.
⑤ 용기를 건조로에서 꺼낼 때에는 반드시 용기집게를 사용하여 떨어뜨린다든지 흩트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6. 결과의 해석 및 정리
1) 함수비
함수비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여기서,
: 습윤토의 무게, 그릇 + 습윤토 무게에서 그릇 무게를 뺀 것
: 수분을 증발시킨 후의 ‘용기 + 건조토’의 무게
: 용기의 무게
2) 함수량과 간극비, 간극률 및 포화도 사이의 관계
함수량과 간극비, 간극률 및 포화도와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여기서,
: 함수비
: 흙의 전체의 부피
: 흙의 간극 부분의 부피
: 흙의 간극에서 물 부분의 부피
: 흙입자의 단위중량
: 흙의 습윤단위중량
: 간극비
: 간극율
: 포화도
: 흙 입자의 비중
7. 시험 결과 및 데이터
시료의 함수비 측정
측정번호
#1
용기번호
1-1
1-2
1-3
(젖은 흙+용기)의 무게 g
34.18
35.54
35.26
(마른흙+용기)의 무게
g
32.84
34.57
33.44
용기의 무게
g
22.18
26.42
23.32
마른흙의 무게
g
10.66
8.15
10.13
물의 무게
g
1.34
0.98
1.82
함수비
%
12.58
11.97
17.95
평균 함수비 %
14.17
측정번호
#2
용기번호
2-1
2-2
2-3
(젖은 흙+용기)의 무게 g
47.05
41.06
36.25
(마른흙+용기)의 무게
g
44.20
39.25
34.74
용기의 무게
g
22.45
25.52
22.5
마른흙의 무게
g
21.85
13.73
12.34
물의 무게
g
2.85
1.81
1.51
함수비
%
13.05
13.20
12.32
평균 함수비 %
12.86
8. 데이터 해석
(1) 마른 흙의 중량 결정
마른 흙의 무게)
마른흙의 무게=건조 후 무게-용기의 무게
1-1 : 32.839-22.183= 10.656g
1-2 : 34.565-26.42= 8.145g
1-3 : 33.441-23.32= 10.131g
2-1 : 44.198-22.34= 21.849g
2-2 : 39.248-25.52= 13.728g
2-3 : 34.742-22.5= 12.242g
물의 무게)
물의 무게=전체무게-건조 후 무게
1-1 : 34.18-32.839= 1.341g
1-2 : 35.54-34.565= 0.975g
1-3 : 35.26-33.441= 1.819g
2-1 : 47.05-44.198= 2.852g
2-2 : 41.06-39.248= 1.812g
2-3 : 36.25-34.742= 1.508g
*함수비(w)=
1-1
1-2
1-3
2-1
2-2
2-3
*평균함수비
#1 =
#2 =
9. 고 찰
10. 사진 자료
① 현장에서 채취한 흙의 무게 측정(통 포함) ② 사분법을 이용한 시료의 구분
③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구분 ④ 분류된 시료
⑤ 굵은골재의 세척 ⑥ 시료 분류(잔골재)
⑦ 건조로에 24시간 건조 ⑧ 잔골재의 함수비 측정
11. 참고문헌
권호진, 『토질역학』, 제2판, 구미서관, 2009
김상규, 『토질시험』, 수정판, 동명사, 2008
김용성, 『토질공학』, 일광, 2003
박종현, 『토질시험』, 동학, 2002
이상덕, 『토질시험(원리와 방법)』, 새론, 1997
임상주, 『건설재료시험』, 나누리, 2005
Barja M. Das, 『토질공학』, 신은철 역, 교보문고, 2001
  • 가격3,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6.0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7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