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시풍속
이광렬(2005), 우리나라 세시풍속, 청연
장정룡(1994), 세시풍속,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Ⅰ. 중양절의 정의
Ⅱ. 중양절의 유래
Ⅲ. 중양절의 역사
Ⅳ. 중양절의 시절음식
1. 국화전
2. 국화주
3. 중구화채
4. 토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론, 민속원 Ⅰ. 개요
Ⅱ. 삼짇날(삼월 삼짇날)의 어원과 유래
1. 삼월 삼짇날의 어원
2. 삼월 삼짇날의 유래
Ⅲ. 삼짇날(삼월 삼짇날)의 역사
Ⅳ. 삼짇날(삼월 삼짇날)의 풍속
Ⅴ. 삼짇날(삼월 삼짇날)의 시절음식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시풍속, 대구 : 형설출판사, 1984 Ⅰ. 백중일(백중날, 백종일, 백종날)의 유래
Ⅱ. 백중일(백중날, 백종일, 백종날)의 의의
Ⅲ. 백중일(백중날, 백종일, 백종날)의 시절음식
Ⅳ. 백중일(백중날, 백종일, 백종날)의 풍속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속이 있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11월 조에 의하면 \"동짓날을 아세(亞歲)라 하여 팥죽을 쑤어 먹는데, 팥죽을 쓸 때 찹쌀로 새알모양으로 빚은 속에 꿀을 타서 시절음식으로 먹는다. 또한 팥죽은 제상에도 오르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속
1. 부럼과 귀밝이술(茶禮)
2. 오곡밥(省墓)
3. 보름나물(묵은나물)
4. 달맞이
5. 더위팔이
6. 농점(農占)
7. 제의(祭儀)와 놀이
Ⅲ. 정월대보름(대보름)의 시절음식
Ⅳ. 정월대보름(대보름)의 민속놀이
1. 달맞이
2. 쥐불놀이
3. 볏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