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의 범위 : 인류, 동포. ① 신뢰감(trust) 대 불신감(mistrust)
② 자율성(Autonomy)대 수치감(shame)과 회의감(doubt)
③ 자발성(Initiative) 대 죄책감(guilt)
④ 근면성(industry) 대 열등감(inferiority)
⑤ 정체감(identity) 대 역할혼미(role Confusion)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3.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 / 2014 / 교문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I. 신뢰감 대 불신감(trust vs. mistrust)
II.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autonomy vs. shame & doubt)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뢰감 대 불신감(basic trust versus mistrust)
② 2단계(2~3세) : 자율성 대 수치심 또는 회의감(autonomy versus shame and doubt)
③ 3단계(4~5세) : 주도성 대 죄책감(initiative versus guilt)
④ 4단계(6~12세) : 근면성 대 열등감(industry versus inferiority)
⑤ 5단계(13~18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 절망(despair)
노년기. 장년기에 들어서서 자아의 주체성과 환경과의 융합은 충족감을 가져오지만 ,실패했을 경우는 절망과 허탈감에서 자기 상실을 갖게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인류,동포. ① 신뢰감(trust) 대 불신감(mistrust)
②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격리불안(seperation anxiety)을 나타낸다.
격리불안은 13-18개월경에 나타나는데 어떤 아동은 유아기까지 계속되어 의존적으로 되는 경우도 있다.
에릭슨(Erikson)은 이 시기를 \'기본적 신뢰감(basic trust) 대 불신감(mistrust)\'을 형성하는 시기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