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신뢰감(trust) 대 불신감(mistrust)
② 자율성(Autonomy)대 수치감(shame)과 회의감(doubt)
③ 자발성(Initiative) 대 죄책감(guilt)
④ 근면성(industry) 대 열등감(inferiority)
⑤ 정체감(identity) 대 역할혼미(role Confusion)
⑥ 친밀성(Intimacy) 대 고립감(isolation)
⑦ 생산성(generativity) 대 침체감(stagnation)
⑧ 달관(integrity)대 절망(despair)
② 자율성(Autonomy)대 수치감(shame)과 회의감(doubt)
③ 자발성(Initiative) 대 죄책감(guilt)
④ 근면성(industry) 대 열등감(inferiority)
⑤ 정체감(identity) 대 역할혼미(role Confusion)
⑥ 친밀성(Intimacy) 대 고립감(isolation)
⑦ 생산성(generativity) 대 침체감(stagnation)
⑧ 달관(integrity)대 절망(despair)
본문내용
되면 침체감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타인들에 대한 관심보다는 자신의 욕구에 더 치중하는 경향을 보이며, 남에게 대한 관대함이 결여, 강박관념과 반발심이 일게 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직장, 가정
⑧ 달관(integrity)대 절망(despair)
노년기. 신체적인 노쇠와 직업으로부터 은퇴, 친한 친구나 배우자의 죽음 등으로 인하여, 인생에 대한 무력감을 느끼게 되는 일이 많다. 이 시기의 성패는 신체적, 사회적, 퇴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 가에 달려 있다고 에릭슨은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노년기에 들어서면 자신이 지금까지 살아온 생애를 돌아보면서 자신의 생애가 가치 있는 삶이었는지를 음미해 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삶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게 되면 절망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망 속에서도 자신은 그 때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면서 자기 나름대로 인생의 의미를 찾고 보람을 느끼게 되면 인생에 대한 참다운 지혜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지혜를 통하여 앞의 7단계동안 이룬 소산을 거두어들일 수 있게 되며, 드디어는 보다 더 차원이 높은 인생철학으로 통합을 이루어 나가게 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인류, 동포.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직장, 가정
⑧ 달관(integrity)대 절망(despair)
노년기. 신체적인 노쇠와 직업으로부터 은퇴, 친한 친구나 배우자의 죽음 등으로 인하여, 인생에 대한 무력감을 느끼게 되는 일이 많다. 이 시기의 성패는 신체적, 사회적, 퇴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 가에 달려 있다고 에릭슨은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노년기에 들어서면 자신이 지금까지 살아온 생애를 돌아보면서 자신의 생애가 가치 있는 삶이었는지를 음미해 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삶이 무의미한 것이었다고 느끼게 되면 절망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망 속에서도 자신은 그 때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하면서 자기 나름대로 인생의 의미를 찾고 보람을 느끼게 되면 인생에 대한 참다운 지혜를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지혜를 통하여 앞의 7단계동안 이룬 소산을 거두어들일 수 있게 되며, 드디어는 보다 더 차원이 높은 인생철학으로 통합을 이루어 나가게 된다.
주된 관계대상의 범위 : 인류, 동포.
키워드
추천자료
에릭슨의 정신역동 이론
에릭슨의 발달이론, 자아개념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을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비교(공통점과 차이점)
에릭슨 인성발달이론 8가지, 가드너의 지능의 개념과 8영역, 인간의 정의적 특성의 종류에 대...
에릭슨의 성격발달에따른 성격분석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
에릭슨 “ 인생의 8단계 과정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설명하고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과 본인이 생각했을 때 교사...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발달 단계를 설명하고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 본...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이론과 마샤의 청소년 정체성 이론
에릭슨의 인간발달 과정중 1단계~3단계에에 대해 서술하시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이론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