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기법으로 인하여 고려속요냐, 향가냐 하는 장르 귀속의 문제가 있으나, 우리는 이 작품이 향가의 가장 큰 특징인 이두식 표기인 반면 고려속요의 가장 큰 특징인 후렴구와 분련체의 요건은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보아 향가에 귀속시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숭겸의 행적을 기록해 놓은 <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平山申氏高麗太師壯節公遺事)>에 사운일절(四韻一絶)의 한시에 이어 단가이장(端歌二章)이라 한 다음 이두식 표기로 되어 있다. 여요(麗謠)는 60여편(유전(有傳)부전(不傳)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두식 표기로 된 향가형식의 노래로, 8구체를 4구씩 2분하여 지었다.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에 행차하여 팔관회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과 신숭겸의 가상을 만들어 참석하게 한 것을 보고, 왕이 그들의 공을 추도하여 지은 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자료는 고려시대 도이장가 이두식(吏讀式) 표기로 된 향가(鄕歌) 형식의 노래로, 8구체(句體)를 4구씩 2분하여 지었다.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西京:平壤)에 행차하여 팔관회(八關會)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金樂)과 신숭겸(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두식(李讀式) 표기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고구려에서 이두식 표기의 사용은 「평양성석각」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그리고 「중원고구려비」가 이두식 표기를 사용했다는 것은 순한문으로 된 「광개토왕릉비」에 비해 격이 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