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한은 성령에 관한 주제를 다루는 적은 양의 공간을 생각할 때에 풍부하고도 많은 양을 가르친다. 성령의 선물이 그리스도의 영화와 관계된 방식은 최고로 중요하여 우리들에게 우리가 왜 오순절 사건 이전에 성령에 대해서 그토록 적게 알
|
|
![]() |
요한 공동체가 신학적인 의미로 종파였다는 주장의 또 하나의 약점은, 이러한 주장이 1세기 말에 이미 기준이 되는 규범적인 그리스도교의 존재를 전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던(James D. G. Dunn)은『신약의 통일성과 다양성』이라는 책에서 원시
|
|
![]() |
신약총론,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1.
, 신약성경연구,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5.
, 신약성서의 중심 주제들,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이종성, 성령론,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현요한, 성령, 그 다양한 얼
성령, 신약에 나타난 성령,
|
|
![]() |
특성
3. 기도의 요소
Ⅶ. 예수그리스도의 대속
Ⅷ. 예수그리스도의 왕권
1. 본래적 왕권과 중보적 왕권
1) 본래적 왕권
2) 중보적 왕권
2. 중보적 왕권에 대한 성경적 근거
1) 구약의 증거
2) 신약의 증거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
![]() |
요한만큼 철저하지 않다. 요한의 이미지에서는 예수 자신이 곧 교회인데 반해, 바울은 그리스도가 머리로서 몸의 지체와 함께 교회를 형성한다.
참고문헌
D. Moody Smith, [요한복음의 신학](서울: 한들, 1999);
Robert Kysar, [요한복음서연구](서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