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미도> 소개
2.본론1.
훈련병 박중사(이정헌 분)와 조중사(허준호 분)
성격 비교/분석
3.박중사와 조중사의 가치관 비교/분석
4.ERG이론에 근거한 극중 인물들의 행동 분석
5.성취동기이론에 근거한 극중 인물들의 행동 분석
6.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6.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 정체성이 변하는 사람. 실미도는 이런 인간군상을 그려내어 더 좋았던 작품이다.
이 영화에서 주목할 점은 비인도적인 정부에 대립하는 실미도 부대원들 개개인의 정체성이다. 그들은 김일성 암살 명령을 띄고 훈련에 임할 때만해도 자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미도’는 역사 재조명을 사회의 주도문화로 격상시켰다.
이상으로 문화주의 문화론에 입각한 문화분석틀을 영화 ‘실미도’에 적용해 보았다. 문화주의 문화론은 몇 가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문화적 현상을 분석하는데 무리가 없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석 : 오국장은 정치적프레임과 구조적 프레임을 들어 설득하고있다.
- 정치적 프레임 : 김일성을 죽이기 위해 죄질이 악한 사형수들을 모아 살인기술을 교육시키고 훈련시켰다는것을 외신이 알려졌을때 자국이 입게될 국가의명예, 평화통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며 자신에게 총을 겨눈 부대원들에게 던진 박 중사의 한마디 “어떻게 똑같아 이름도 없는 새끼들이랑 우리가”. 이에 한상필은 “우리가 이름이 왜 없어. 나 한상필이야” 라고 외치며 총을 마구잡이로 쏘아댄다.
영화의 포스터에서도 이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1.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