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정)
1)성(性)
(1)본연지성(천명지성/천명지위성)
(2)기질지성
(3)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이의 관계
2)심=마음=기(氣)
3)성과 심의 관계
4)인심/도심
3)정(情)
(1)성발위정
<심통성정의 관계> (심주성정이라고도 한다.)
<인론(仁論)>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고든 것이다. 여기에 나타난 사단칠정과 이기의 관계에 대한 견해를 두고 이이(李珥) 학파와 계속 논쟁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조선 성리학의 대표적인 논쟁인 사단칠정논쟁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통성정론을 소설화하였다. 작가는 이전부터 내려오던 의인화라는 표현 방법을 심성에 적용시킨다. 그렇게 하여 생겨난 인물들은 나름대로의 세계를 형성한다. 천군을 중심으로 한 세계와 수성의 세계는 새롭게 형성된 소설적 세계이다. 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의 동정
3. 리일분수(이일분수)
4. 미발(미발)과 이발(이발)
5. 심통성정 심통성정
6. 천명지성천명지성과 기질지성 기질지성
7. 주경함양 주경함양
8. 격물궁리 격물궁리
9. 도심도심과 인심인심
10. 먼저 알고 나중에 행한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통성정을 기본으로 하는 인성론에 바탕으로 두고 불교의 초세속적 성격과 그 철학사상을 비판하였고, 불교의 타락현상과 기복행위에 치중하는 미신적인 요소도 성리학자들의 중요한 개혁 대상이었다. 둘째, 예속의 변화이며, 유교의식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