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일분수
<심성론> (심성정)
1)성(性)
(1)본연지성(천명지성/천명지위성)
(2)기질지성
(3)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이의 관계
2)심=마음=기(氣)
3)성과 심의 관계
4)인심/도심
3)정(情)
(1)성발위정
<심통성정의 관계> (심주성정이라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의 동정
3. 리일분수(이일분수)
4. 미발(미발)과 이발(이발)
5. 심통성정 심통성정
6. 천명지성천명지성과 기질지성 기질지성
7. 주경함양 주경함양
8. 격물궁리 격물궁리
9. 도심도심과 인심인심
10. 먼저 알고 나중에 행한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성이란 원래 기질지성을 떠나 있는 것이 아니다. 본연지성이 나타나는 것은 기질을 떠나서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담일허명한 ‘본연지기’가 문제되는 것이다. 기에는 본연에 기가 있는데 그것은 순수하고 청명하여 이를 싣고 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질성은 리와 기를 섞어 말한 것으로 기의 청탁이 기질성에서 선악의 차이를 가져온다. 사람이 선인과 악인, 현인과 우인으로 구분되는 것은 모두 기질성에 기인한다.
그런데 이 두 성은 실제로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천지성은 기질성과 함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리일분수(理一分殊)론으로 설명해 갔다.
“이로 미루어 보건대 유가성현들이 상제를 경외하며 숭배치 아니한 이가 없고 이 유가에서 경외하는 상제는 도가에서 존하는 옥황상제나 현천상제나 元是天尊이 아니오, 천지를 관리하시는 조화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