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사단칠정논변에 대한 이해의 차이
2. 육경(六經)중심주의와 사서(四書)중심주의, 그리고 왕권에 대한 인식차이
3. 정조대를 대표하는 두 정치가- 심환지와 이가환
4. 시파와 벽파와의 사상갈등-호락(湖洛)논쟁
Ⅳ. 책장을 덮으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환지 대감에게 일을 맡기도록 한다. 정조는 이대교에게 서책 「시경천경록고」를 찾아오라 명한다.
7. 감옥, 정약용이 천주악을 믿는 죄인을 업고 있을 때 마침 정약용을 찾으러 온 현주사에게 안의 아낙을 업고 나오라고 말한다. 그들이 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환지이며 그는 정적관계에 있던 노론 강경파의 영수였다.
6월 24~26일, 연훈방 치료만 했다.
정약용은 여유당전서에 의원을 시켜 왕을 죽인 정승이라고 적은 인물이 바로 심환지 였고 그가 썼다는 독약이 연훈방이었다.
연훈방 치료를 받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족한 것 같았다. 어쨌든 이 영화를 봄으로 인해, 그리고 이 글을 씀으로 인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조선후기 최고의 태평성대로만 알고 있던, 영·정조 시대 속에는 이런 비사가 있었음을, 그리고 우리나라에도 유럽의 계몽군주와 같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미호 문하에서 만포(晩圃) 심환지(沈煥之, 1730-1802), 즉지헌(則止軒) 유언호(兪彦鎬, 1730-1796), 근재(近齋) 박윤원(朴胤源, 1734-1799), 노주(老洲) 오희상(吳熙常, 1763-1833) 같은 인물들이 배출되어 학계와 정계를 주도하게 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