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십이지상은 성덕왕이 돌아가신 뒤 바로 세운 것이 아니라 경덕왕 때인 8세기 중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십이지신상 [ 十二支神像 ]
쥐[子]· 鼠(쥐 서)
소[丑]· 牛(소 우)
범[寅]· 虎(범 호)
토끼[卯]· 兎(토끼 토)
용[辰]· 龍(용 용)
뱀[巳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재였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지리지, 『산림경제(山林經濟)』 권제4(蛇條4) 등에서도 뱀 허물이 약재로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뱀허물이 정창, 모든 상처에 파리와 구더기를 없애는데, 태(胞衣)가 나오지 않을 때, 경풍(驚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라 조각의 걸작품이다. 이 십이지상은 성덕왕이 돌아가신 뒤 바로 세운 것이 아니라 경덕왕 때인 8세기 중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십이지신상 [ 十二支神像 ]
쥐[子]· 鼠(쥐 서)
소[丑]· 牛(소 우)
범[寅]· 虎(범 호)
토끼[卯]· 兎(토끼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림경제(山林經濟)』 권제4(蛇條4) 등에서도 뱀 허물이 약재로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뱀허물이 정창, 모든 상처에 파리와 구더기를 없애는데, 태(胞衣)가 나오지 않을 때, 경풍(驚風) 등이 쓰인다고 했다.
7. 오시(11 - 13시) : 이 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림경제(山林經濟)』 권제4(蛇條4) 등에서도 뱀 허물이 약재로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뱀허물이 정창, 모든 상처에 파리와 구더기를 없애는데, 태(胞衣)가 나오지 않을 때, 경풍(驚風) 등이 쓰인다고 했다.
7. 오시(11 - 13시) : 이 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