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신라 조각의 걸작품이다. 이 십이지상은 성덕왕이 돌아가신 뒤 바로 세운 것이 아니라 경덕왕 때인 8세기 중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십이지신상 [ 十二支神像 ]
쥐[子]· 鼠(쥐 서)
소[丑]· 牛(소 우)
범[寅]· 虎(범 호)
토끼[卯]· 兎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십이지상이다. 위층에는 주작, 청룡, 현무, 백호상이 있고. 아래층에는 방향에 맞게 제자리를 찾아 호랑이, 소, 토끼, 쥐, 닭, 원숭이 등 십이지신상이 있다. 십이지상 가운데 소는 정각 1시 방향에 있어야 하는데 현재는 4시 방향에 앉아 있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라왕릉」 한국학술정보(주). 2007
· 조유전.「발굴 이야기; 왕의 무덤에서 쓰레기장까지 한국 고고학 발굴의 여정」(주)대원사. (1996) 101-121p , 238-265p. Ⅰ. 서론
Ⅱ. 본론
1. 고구려의 무덤양식
2. 백제의 무덤양식
3. 신라의 무덤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 조선시대에는 농경, 수공업의 원료 군마 교통, 통신의 역마 등으로 다양했다. 근자에는 제주도 일부와 민속촌 관광지와 경마장을 제외하고는 말을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말의 이미지를 투영한 기업이나 상품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능묘 주위의 호석에 새겨진 巫服(무복)을 입은 십이지상은 중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한 것이라는 특징이 있다.
3. 墓碑(묘비), 龜趺(귀부)
- 귀부는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로 통일신라 이후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삼국통일과정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