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위 702-737년)에서 옮겨온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두 방위에 따라 무덤의 호석 주위에 배치되는 통일신라시대의 십이지신장상들은 모두 평면적인 부조이지만 이 상은 완전히 두리새김한 점이 특징이다. 지금도 성덕왕릉 주위에는 다른 십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능묘 주위의 호석에 새겨진 巫服(무복)을 입은 십이지상은 중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이한 것이라는 특징이 있다.
3. 墓碑(묘비), 龜趺(귀부)
- 귀부는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로 통일신라 이후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는 삼국통일과정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일신라 왕릉의 대표적인 이 괘릉의 능묘제도는 당나라와 의 문물 교류를 통하여 그 능묘제도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나 십이지신상을 호석에 배치하는 것은 신라인의 창안이며 뛰어난 조각수법은 당시 신라인의 고도로 발달한 예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능묘이다. 공양왕은 왕조의 몰락과 함께 폐위되어 왕자 (석)奭, (우)瑀와 함께 원주와 간성을 거쳐 삼척에서 조선조 태조 3년(1394)에 교살되었다고 전한다.
왕릉은 오랜 세월이 흐르는 사이 현종 3년(1837) 정유년 가을에 삼척 부사 이규현(李圭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식여행』, 이토, 1998. 목차
1. 석등의 의미
2. 석등의 기원
3. 석등의 구조
(1) 대좌부
(2) 화사부
(3) 옥개석
4. 석등의 형태
5. 석등의 시대적 변천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