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에는 고조에 달했던 ‘양기’가(말)
점점 기세를 죽이며 ‘음기’ 가 머리를 들기 시작하는데,
말은 땅에서 달리고 땅은 ‘음기’이므로 말을
‘음기’의 동물로 보고 이 시각을 말과 연계시킨다. 말(午)은 12지의 일곱 번째 동물로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십이지신인형이 종을 울리며 등장하였다. 청각을 이용한 보시만이 아니라 시간을 눈앞에 전시하였던 셈이다. 현재 시보장치는 소실되었고 물시계 항아리만이 국보 229호로 지정되어 있다. 우리가 만원짜리 지폐에서 볼 수 있는 \'물시계\' 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십이지신 닭등
십이지를 상징하는 수면인신상, 십이지라는 개념은 중국의 은대에서 비롯 되었으나, 이를 방위나 시간에 대응시킨 것은 대체로 한 대 중기의 일로 추정된다. 다시 이것을 쥐,소,범,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 등 12동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십이지신(호신)처럼 수두인신상(獸頭人身像)인 것과는 거리가 먼 그러한 이상화의 범주에 한정된 것만은 아니다.
예술에는 항상『존재양식』과『생성양식』이 수반된다는 견지에서 본다면 이 시대는 이전시대의 생성양식이 이미 존재양식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7.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십이지신의 동물인형을 전시하여 ‘무슨 시’ 인지를 알려준다. 밤시간에는 매경의 숫자대로 북을 울리고, 매경의 점마다 점의 숫자대로 징을 울린다.
* 자격루의 크기는 어떠한가?
☞ 자격루는 물시계의 폭이 가로 3미터, 높이가 5.3미터, 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