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라야식설을 창안하였다. 이러한 원효의 입장은, 열반에 안주하지 않고 하화중생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부주열반의 정신으로 귀결된다. 1. 중관·유가의 화회
2. 아라야식의 두 가지 의미
3. 삼세·아라야식의 새로운 해석
4. 부주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 제 7 말나(末那)식
1 말나식의 성립
의식이외에 말나식이라는 개념을세로이 필요하게 된 배경
유식학도들이 가장 큰 특징은 말나식과 아라야식의 설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이 말나식가 아뢰야식을 세우게 된 이유를 먼저 보기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라야식에서도, 마나스식에서도, 육식(여섯가지의 대상영역)에서도 작용하는 것이다.
10-14[ 心作用(caitta/caitasa, 心所)의 분류 ]
보편적인 것 (sarvatraga, 遍行)5
spar a <대상과의> 접촉(觸) · manask ra <대상에로의> 志向(作意) · vedan <대
|
- 페이지 1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3.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라야식에서도, 마나스식에서도, 육식(여섯가지의 대상영역)에서도 작용하는 것이다.
10-14[ 心作用(caitta/caitasa, 心所)의 분류 ]
보편적인 것 (sarvatraga, 遍行)5
spar a <대상과의> 접촉(觸) · manask ra <대상에로의> 志向(作意) · vedan <대
|
- 페이지 133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채찍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원효는 아라야식의 覺義에 의하여 자성청정한 覺의 상태로 환멸한 후의 본각에 대하여 그 특징을 自利와 利他의 두 가지 면으로 강조하여 心源에 도달한 覺者는 깨달은 상태에 안주하지 말고 중생교화를 위하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