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8건

전압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IPSP 신경원 막전위가 과분극 연접이후막의 투과성 증대로 K+는 세포밖으로, Cl-는 세포안으로 이동시켜 연접이후막의 흥분을 억제하는 전압 ⇒ 세포막 내외의 전압차를 더 크게 함 = 안정막 전위를 높임(과분극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hypoxia) 등에 빠지게 되면 세포막 전압이 0 mV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탈분극(depolarization)되게 되는 것입니다. 1.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 Transmembrane movement 2. 안정막 전압 - 세포막 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 3. 막전압 변화의 요인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F. Rhythmic Excitation of the Heart (심장의 율동적 흥분) 1. 전도속도 (conduction velocity) 중략 2. 동방결절 (SA node): small spindle shaped specialized muscle cell 1) 안정막 전압 (resting membrane potential): -55 to -60 mV 2) 향도잡이 전압 (pacemaker potential): 72 beats/min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10.3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전압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은 세포막을 경계로 하여 전기적인 대립상태, 즉 분극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 전압을 안정막 전압이라고 부른다. 세포막 외부에 대하여 내부는 음성을 나타낸다. 신경섬유의 내부와 외부 사이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안정막 전압이 약 -50mV로서 다른 심근세포(-90mV)보다 역치(-40mV)에 쉽게 도달 → 전기적 흥분상태인 탈분극이 발생 2.심박수 - 심장주기 : 심방수축기, 심실수축기 , 심방과 심실확장기(이완기) - 안정시 심장의 1주기 : 약 0.8초 → 1분 동안 약 70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5.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