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I. 애착형성의 요인
II. 애착형성단계
III. 낯가림과 격리불안
IV. 애착의 질적 특성
V. 애착의 지속과 세대간 전달
* 참고문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에도 큰 슬픔을 나타내지 않는다. 한편 불안-저항 경향의 애착을 형성한 영아들은 어머니에 대해 분노를 나타낼 뿐 아니라 어머니의 위로도 거절한다. (1) 애착형성의 요인
(2) 애착의 형성 단계
(3) 낯가림과 격리불안
(4) 애착의 유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격리불안은 부모와 분리될 때 나타내는 슬픔이나 실망으로서 낯가림보다 조금 늦은 생후 9개월경에 나타난다. 격리불안은 낯가림과 함께 부모에 대한 애착강도의 중요한 지표이다. 영아들은 애착대상과 분리되면 애착대상을 찾으려고 하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애착을 형성한 아버지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버지보다 성격이 명랑하고 사교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아버지들은 좋은 부부관계를 유지하고, 일과 가족에 대한 긍정적 느낌을 가진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일과 가족 간에 균형을 잘 유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안정-회피 애착 (anxious-avoidant attachment : type A)
(3) 불안정-저항 애착 (anxious-resistant attachment : type C)
(4) 불안-혼돈(비 조직화) 애착 (disorganized/ disoriented attachment : type D)
5. 애착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 모성박탈
(2) 양육의 질적 특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