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세기 고대국어(고대한국어)의 어휘부와 파생법
Ⅵ. 15세기 고대국어(고대한국어)의 지명표기
1. 어을매(삭주)
2. 어을매관(한주)
1) 어사매(횡천)
2) 어사내(부양)
Ⅶ. 15세기 고대국어(고대한국어)의 ?갸
1. 기존 대명사의 개념 정리
1) 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5세기(15C)의 국어와 구결
Ⅲ. 15세기(15C)의 국어와 ‘?갸’
Ⅳ. 15세기(15C)의 국어와 파생어
Ⅴ. 15세기(15C)의 국어와 분철
Ⅵ. 16세기(16C)의 국어와 양태부사
Ⅶ. 16세기(16C)의 국어와 구개음화
Ⅷ. 17세기(17C)의 국어와 분철표기
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사의 서술성
(1) ㄱ. 그녀의 머리는 바람에 찰랑찰랑.
ㄴ. 클린턴이 한국을 방문.
(1)의 두 예문을 살펴 보면 ㄴ 의 ‘방문’은 바로 서술명사로서 한국어 문법 체계에서 당연하게 쓰이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ㄱ 의 ‘찰랑찰랑’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4.06.2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사 형성의 통시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박석문(1994), <'-하-'의 구성에 대하여>, 한림어문학 1집
안동언(1996), <품사분류(verl. 1)>, 전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한영균, 유동석(1993), <컴퓨터를 이용한 국어 자료 분석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사례
Ⅷ.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공통표기방법
1. 這個, 提款?. ?往那個電腦里一放, 那個錢就會‘?’一聲飛出來的. <甛密密>
2. 한자 우리말 독음 한어 병음 한어 병음 우리말표기
1) 영화인
2) 정치인
3) 지명
Ⅸ.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