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획물운반선(一般漁獲物運搬船)
1) 허가척수
13척
2) 조업수역
전재어선의 조업수역과 같음. 다만, 북위 29도40분 이남수역 중 중국기선저인망금지구역선 외측 10해리수역을 제외.
3) 조업시기
전재하는 어선의 조업시기와 같음.
4) 기타조건
(1)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획물의 가공, 저장 등에 알맞도록 만들어진 것이 어선입니다. 다른 의미로는 어업에 종사하던가 또는 이와 관계를 가지는 선박을 말하며 어선법 제 2조에서는 어업에 전용되는 선박, 어업에 종사하는 선박으로서 어획물의 보장 또는 제조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획물의 규격화, 원활한 가격결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등을 해결해야 한다. 도매시장 법인을 도매상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산지 유통기관인 위판장과 산지 위판장의 중도매인을 중심 으로 산지 수산물 유통의 문제점과 개선방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획물 직수출 및 국내반입(해외 수출시장 공동개척, 합작수산물 국내반입) 등은 수협중앙회, KOTRA, 북한 해외무역사업소 등의 협력을 통한 사업추진이 바람직할 것이다.
<표 5> 남·북 수산분야협력사업의 내용별 추진방안
사업내용(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획물을 가공 및 운반하는 상품생산 산업이라고 정의되어지며, 이러한 정의에 따라 현재 수산업은 통상적으로 어업, 수산물가공업 및 어획물운반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즉, 수산경영은 자금, 노동력, 어선·어구 등의 설비 및 기타 필요한 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