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근량을 유효폭 이외의 부분에 균등하게 배치한다.
여기서, 는 긴변과 짧은 변의 비(L/S)이다.
[그림] 확대 기초의 전단력 강도 검토
(3) 기둥 저부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는 모두 콘크리트의 지압과 철근, 연결철근 및 기계적 연결쇠에 의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결철근의 정착부실
- 보와 슬래브 연결철근의 정착 부실 : 콘리트의 옹벽과 슬래브의 연결부분은 철근의 정착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거나 Hook 장치를 하여야 하나 코아내력벽과 옥상 바닥판의 연결 부분은 상부철근이 Hook도 없이 불과 25cm로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근을 구부렸다 펴는 작업 생략 가능
- 거푸집 양중 시 간섭되는 불편 초래
다) 벽체애 매립박스를 두는 방법
- 벽체에 매립박스를 두어 그곳을 연결철근을 접었다가 연결하는 방법
- 개선해야할 부분
1) 수입품으로 가격이 비싸다 -->
- 매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결을 위한
수직철근
16. 띠장 콘크리트 타설
17. Perimeter 보 콘크리트 타설시 지주 및 지하 1층 굴토가 완료
18. SPS 철골보와 기둥의 접합
19. SPS 철골보와 띠장의 접합
20. 지하 1층 굴토 후
SPS 골조 설치
21. 작업장 확보를 위해
부분적으로 슬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근 배근간격유지 부실
나. 슬래브 지판부의 부실시공
다. 기둥의 부실시공
라. 과도한 초과하중 발생
마. 내력벽과 슬래브 연결철근의 정착부실
바. 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 부실
사. 하중을 고려하지 않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