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 : 철원, 화천, 춘천, 양구, 인제, 홍천, 횡성, 원주
영동방언권 : 고성, 속초, 양양, 강릉, 삼척, 동해, 태백, 평창, 정선, 영월
위의 구분에서 영서방언권에 속한 군들의 언어는 거의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영동방언권에 속한 군들은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7.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의 특성으로 내세우기에는 그 분포가 너무 좁지만 이들이 강원도 방언을 특징짓는 요소들임에는 틀림없다.
참고문헌
국어방언학, 이상규, 학연사, 2003
강원도 영동남부지방방언, 이경진, 예문사, 2004
강릉방언사전, 박성종, 진혜숙, 태학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14.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으로 나누고 그 각각을 다시 몇 개씩으로 나누었을 때 이 2차적으로 나누어진 크기의 말도 역시 방언이라 불린다.
따라서 중부방언의 일부로서의 강원도방언, 강원도방언의 일부로서의 영동방언, 영동방언의 일부로서의 강릉방언 등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영동방언권은 고성, 속초, 양양이 속하며, 휴전선 이북까지 대상으로 하게 되면 이방언권은 굉장히 넓어질 것이다.
강릉방언권은 강릉, 명주를 묶은 지역으로, 이 지역은 때로는 양양과 가까운 관계를 보이기도 하나 여러 방언 특징에 의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건제늠은 짓인 줄 알면서도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주제넘은 짓인 줄 알면서도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참고문헌>
남기탁 外, 『방언』, , 2002.
김인기, 『구수하게 살아 숨쉬는 강릉 사투리 맛보기』, 한림출판사, 1998.&nb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5.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