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조대 승정원일기 개수과정의 검토』조선시대사학보 31 2004.12
⑤김종수 『승정원일기 편찬체제와 타 문헌과의 비교 검토』 인문학논총 제3집
⑥민족문화추진위원회/문화재청/ 한국의 문화유산/ 문화재청 2002 사이트
*목차
Ⅰ. 머리말
Ⅱ. 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할
2) 악기편성
3) 연주악곡
3. 전정헌가의 성립과정
제3장 인조 이후의 전정헌가
1. 전정헌가의 역할
1) 인조∼숙종년간
2) 영조대
3) 정조대
4) 순조대
5) 고종∼대한제국
2. 악기편성
1) 숙종∼정조년간
3. 연주악곡
|
- 페이지 163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1.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英祖代(영조대) 初半(초반)의 蕩平策(탕평책)과 蕩平派(탕평파)의 活動(활동)」 정만조 1. 서 론
2. 본 론
(1) 탕평이란?
(2) 영조의 즉위와 탕평책의 모색
1) 즉위초 탕평책의 대두
2) 노론정권하 탕평책의 시도
3. 결 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였고 겸 성균사성 김예몽의 전문을 보면 청금과 더불어 맹세하고 더욱 소절을 다하겠으니…”라 하는 구절이 보인다. 이렇게 유생을 청금이라 비유한 것은 세조이후 영조대까지 계속 보이며 중간인 중종에서 현종대에는 ‘분포’라 통칭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조대까지와 영조대 이후의 시조 문학으로 분류하였는데 숙종 - 영조 대에 시조의 융성이 최고봉에 이르렀고 영조이후에는 약간 쇠퇴한 느낌을 받는다고 하였으며 전기에는 이세춘, 김천택, 김수장 등 작가가이면서 창곡가가 많이 나왔으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