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라리방화사건 연구
1948년 5월 1일 제주읍 오라리 연미마을에서 우익 청년단원에 의해 발생한 방화 사건이다. 1948년 4월 3일 제주 지역에서 무장 봉기가 일어나면서 대규모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4월 28일 국방경비대 제 9연대 김익렬 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2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건 희생자 위령제에 참석해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국가 권력이 불법하게 행사됐던 잘못에 대해 사과했다. 또 “자랑스러운 역사든 부끄러운 역사든 역사는 있는 그대로 밝히고 정리해야 한다”고 말하고 “특히 국가권력에 의해 저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건 >
1. 서 론
2. 본 론
1) 4.3사건은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2) 4.3 발발 원인
3) 4.3 전개과정
(1) 1948년 4월 3일
(2) 4.28 평화협상과 5.1 오라리 방화사건
(3) 5.10선거 거부 투쟁
(4) 박진경의 초토화작전
(5) 학살 - '삼광', '삼진‘ 작전
(6) 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라리 방화사건
3 ) 5.10선거 거부 투쟁
4 ) 박진경의 초토화 작전
5 ) 학살 - '삼광(三光)', '삼진 (三盡)‘ 작전
6 ) 하산민들
7 ) 지속되는 대학살과 항쟁의 종식
5 > 4 · 3 항쟁의 책임 - 학살로서의 제주 4 · 3
1) 미군정의 정치적 책임
2 ) 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작전에 투입하였다. 9연대장인 김익렬은 유격대와의 협상을 시도하여 전투를 중지하고, 귀순자를 받는 방향으로 인도하였다. 하지만 5월 1일에 오라리 방화사건과 5월 4일에 경찰총격사건이 발생하면서 평화협정을 깨지게 된다.
미군정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2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