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채의 마력, 아트북스, 2007 Ⅰ. 개요
Ⅱ. 오방색의 의미
Ⅲ. 오방색의 색채의식
Ⅳ. 오방색과 전통미술
1. 고구려 고분벽화의 색채의식
2. 단청과 고려불화의 색채의식
Ⅴ. 오방색과 민화
Ⅵ. 오방색의 현대적 변용
1. 한국현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2.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을 이해하고 오방색의 미술사적 의의를 규명하였다. 현대의 풍요롭고 긍정적인 색채문화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의식 속에서 전통색채를 발굴하여 현대적인 조형어법으로 복원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색으로서의 오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400원
- 등록일 2007.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색채연구소 편 《색채 Ⅱ》 한국색채연구사업(주), 1999, 서울
정동주 〈민속과 한국의 색채2〉 《미술세계》 1991.6, 서울 Ⅰ. 서론
Ⅱ. 본론
1. 오방색의 개념
2. 생활 속에 나타난 오방색
태극기/공간/사계/놀이/의생활/식생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되는 시점이며, 또한 우리의 채색감각에 비추어진 채색안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역사를 떠난 민족은 없다
전통을 떠난 민족 예술은 없다
모든 민족 예술은 그 민족 전통 위에 있다」
위의 글은 박생광이 죽기 며칠 전에 자신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화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색에 있다. 민화의 색은 세상을 푸른색, 1. 색의정의
- 색(色)이란 무엇인가?
2. 한국색의 역사
- 한국의 색의 역사는 언제 부터인가?
3. 한국의 전통색
1. 오방색
2. 음양오행 사상
4. 우리민족의 색채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