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玉華宮
※ 시내 횟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9.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의 자음체계와 중세국어의 자음체계에 나타난 차이점
·훈민정음의 자음체계와 중세국어의 자음체계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볼수 있다.
특이할만한 점은 ‘’ 의 활용문제이다.
훈민정음의 표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훈민정음 제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어의 마지막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
第二節. 訓民正音 體系
훈민정음 창제의 이론적 기초 - 한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을 삼분
- 초성과 종성의 동일성 확인.(終聲復用初聲)
훈민정음 체계는 순수한 국어 단어와 한자음의 표기를 아울러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후기에 나타남.
아칭>아츰>아침 스까힝>스굴>시골 거즛>거짓 츨>칡 힝다>ㅶㅣ가다>찢다 Ⅰ. 중세국어
1.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 병서자(합용병서, 각자병서)
3. 성조체계
4. 소실문자 음가, 쓰임
5. 중세국어의 음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1. 문자와 문헌
훈민정음
창제시기
창제 : 1443년(세종25) 음력 12월에 예의본 완성
『훈민정음』 해례본
「어제서문
(御製序文)」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하므로(자주정신)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