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으로, 어느 신문은 원음으로 표기하는 헤프닝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또한 앞으로 중국어 표기법은 우선 확정된 표기법에 기초로 하여, 언제 어느 상황에서나 일관성을 가지도록 통일된 표기 방법을 고안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현황
Ⅳ. 중국어번역(한중번역)과 중국영화번역
Ⅴ.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문제점
Ⅵ.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사례
Ⅶ.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외래어표기법
Ⅷ. 중국어번역(한중번역)의 한계
Ⅸ. 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이 될 수밖에 없다. f-, v-, p- 와 r-, l-을 구별하지 않고 각각 ㅍ과 ㄹ로 쓰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ch-와 c-; r-과 l-; f-와 p- 를 같은 자모로 표기하고 글씨체로 구분하게 약속하는 것은 외국어 표기법의 일반적인 경향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이라고 표기함이 더 합당할 것 같이 생각된다. 그러나 ‘ 1.서론
2.본론
(1)외래어표기법
(2)외래어표기법의 역사
(3)외래어표기법의 정신
(4)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과 차이점
(5)틀리기 쉬운 외래어 표기법
3.결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 『한국어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은 이것이 과연 뒤에 오는 음을 된소리로 바꾸라는 일종의 발음부호인가 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해 관형사형 어미 ‘-ㄹ’이 ‘알다가, 울고’의 ‘ㄹ’과 달리 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