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역전(外役田)
7) 군인전(軍人田)
8) 궁원전(宮院田)
9) 사원전(寺院田)
10) 왕실어요지(王室御料地)
11) 민전
15) 식읍제도의 발전
(3) 전시과체제하의 토지지배관계(土地支配關係)에 수반된 제문제(諸問題)
1) 공전, 사전과 그 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역전外役田을 지급받았다.
군인
①군인은 군반軍班으로 군역軍役이 세습되었고,
②씨족 단위의 군호軍戶였고, 군반씨족이 중앙군의 핵심이다.
③고려시대 군인은 군역에 복무하는 대가로 군인전軍人田을 지급받았고 이 역시 세습되었다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10.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습)
⑧ 외역전 - 향리
⑨ 사원전 - 사원에 지급
⑩ 별사전 - 승려 개인에 지급
⑪ 민전 - 백정으로 호칭하는 농민 소유의 토지로 전시과와 함께 고려 토지 제도의 근간을 이룸 (1) 경제 정책의 기본 방향
(2) 토지 제도의 정비
1) 토지 제도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역전 등의 분급대상이 되었고, 정치적으로는 지배계층 범주의 下限을 이루었던 중간계층들이었다. 그에 반해 백정층은 일정한 직역과 전정을 받음이 없이 다만 국가에 대해 조세를 부담하는 피지배층이었다. 정호와 백정의 구분은 본관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외역전·군인전 등의 토지를 지급했다.
한편 고려왕조는 민(民)들을 공동체 단위로 파악하여 수취체계에 편입시켰는데, 일반 주·군·현에 편입된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백정농민으로 농업에 종사하면서 일정한 조세(租稅)·공부(貢賦)·역역(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