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도하시고, 장래 일을 말하시고, 세상을 심판하시므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께 영광을 돌리심을 말하고 계신다. 이와 같이 요한의 성령론은 전체적으로 조명해 볼 때 "기독론적 지향의 성령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없음
|
|
![]() |
요한복음의 독특한 교회론을 생성한 요한 공동체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가, 등이다. 또한, 요한복음에 나타난 성례전과 교직에 대한 문제도 교회론에 포함된다.
(3) 성령론
성령의 역동성은 요한 공동체의 특성이었으며, 그들이 체험
|
|
![]() |
나타난 성령님.
1. 용어와 명칭.
2. 구약에 나타난 성령님.
1) 창조와 성령
2) 이스라엘 민족과 성령.
3) 예언자와 성령.
3. 신약에 나타난 성령님.
1) 신약의 각 책에 나타난 성령님
(1) 바울서신
(2) 누가복음과 사도행전
(3) 요한서신
2) 신약의 각
성령, 신약에 나타난 성령,
|
|
![]() |
요한복음과 요한서신:서로사랑하기[온라인]”.
http://blog.naver.com/holyhillch?Redirect=Log&logNo=60008941906
. 2004.7. “사도 요한서신의 신학[온라인]”
http://blog.naver.com/holyhillch?Redirect=Log&logNo=60003875871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목적과 의
|
|
![]() |
요한 저작설은 의심을 받고 있다. 큄멜은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의 저자를 다르다고 주장한다. 사도 요한이 요한계시록을 기록하지 않았다고 보는 이유는 주로 요한복음 또는 요한서신과 비교할 때 언어와 문체의 문학적인 차이와 종말사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