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뉴과 음통에 내화점토를 바르고, 쇳물아궁이봉, 덧쇳물봉을 세운 다음 주물사로 다져 상형을 만든다.
3) 주형의 조립
이미 만들어진 주형들의 표면 도표 작업 후 구멍(움)을 하고 온돌과 같이 연도를 만들어 이 우선 내형 알 하부 주위를 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7.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뉴과 음통에 내화점토를 바르고, 쇳물아궁이봉, 덧쇳물봉을 세운 다음 주물사로 다져 상형을 만든다.
3) 주형의 조립
이미 만들어진 주형들의 표면 도표 작업 후 구멍(움)을 하고 온돌과 같이 연도를 만들어 이 우선 내형 알 하부 주위를 다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뉴(龍)라 부르며 이 용뉴는 종을 매달기 위한 고리를 장식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그 옆으로는 대롱 형태의 용통(龍筒;音筒, 音管)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용통은 속이 버었고 그 하부가 종신 내부와 관통되도록 구멍이 뚫린 점으로 미루어 종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풀고 외형선은 수직으로 되어 둔중한 모양이다. 여의보주를 들어 올리고 있는 원추형 용뉴가 있고 그 아래 꼭대기에는 복련이 만개하였다. 이 점은 중국 종의 특징을 따랐다.
종신을 2분하여 보면, 위쪽에는 원문(圓紋) 안의 범자, 구름무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뉴(단용)
: 독특한 특징, 종을 들어 올리고 있는 듯한 형상.
전지만을 지니고 있음.
-음통
-상대와 하대 등의 문양
: 반원권 문양
-불교적 상징 : 비천상
-2당좌 2비천상의 형태
ㄴ.고려시대의 종
①전기 : 1150년 이전
-신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7.2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