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비어천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이다. 이는 ‘아>아>아우’로 변했는데, 제24장에서 ‘’(아우는)과 같은 형태로 쓰였다. ‘이’와 같이 주격 조사 앞에서는 ‘’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공동 부사격 조사 ‘와’ 앞에서는 ‘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가 노래의 가락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한시의 경우 詩體가 통일되지 않고 다양한데, 이는 국문으로 된 가사와 음악의 리듬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김문기, 「용비어천가의 구조」, 『국어교육연구』 Vol.9 No.1, 국어교육학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 텍스트의 구성 원리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7, p.12.
내용 역시 현 왕조에 대한 찬양뿐만 아니라 규계의 성격이 강해졌다는 점에서 이전의 악장들과는 차이를 보인다. 110장에서 124장에 이르는 물망장의 설정은 이러한 성격
|
- 페이지 6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제9집』), 경북대학교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 회, 1977.
이종출·김재남,「<용비어천가>연구-서사시적 특성을 중심으로」(세종대학교『논문집』인문 대학편 16), 1990.
김사엽, 『李朝時代의 歌謠硏究』, 大洋出版社, 1956. Ⅰ. 서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의 짜임새와 시적 묘미”, [국어국문학] 126호.
배석범(1997), “악장의 언어 질서 연구”, 정신문화연구원.
이기문(1962), “용비어천가 국문가사의 제문제”, [아세아연구].
이기문(1962), “중세국어 특수어간 교체”, [진단학보].
이기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