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에나 쓸 것이요, 한자음에는 쓸 수 없는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한 음절 속에서 받침으로 쓰이는 자음 글자에 대하여 실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⑴ 종성은 초ㆍ중성을 이어 받아서 한 음절을 이룬다.
⑵ 불청불탁 글자(ㆁ 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리말과 글을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끌고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길운 (1993) <국어사 정설> 대구, 형설출판사
2. 김동소 (1998) <한국어 변천사> 대구, 형설출판사
3. 박병채 (1989) <국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지 않아 낱말 강세가 없다고 할 수 있고 각 음절을 거의 똑같은 길이와 강도로 또박또박 발음하는 음절 박자 리듬 언어이다. 1. 우리말과 문자의 과거모습
2. 우리말 문자의 현재모습
3. 한글의 변천사와 위기
4. 외국어와 한글의 차이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20.05.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천사, 한국교열기자회.
민현식(1999), 국어 정서법 연구, 서울: 태학사.
박영순(1998), \"한국의 언어계획과 언어정책에 대하여\", 사회언어학 6권 2호, 한국사회언어학회.
오미정(1999), \"국어의 기초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 <신체> 영역의 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리말큰사전》, 서울: 三省出版社.
심재기(1999),《국어 문체 변천사》, 서울: 집문당.
이희승(1961/1994),《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조빈스키, B.(이덕호 역, 1999),《문체론》,서울: 한신문화사.
한글학회(1992),《우리말큰사전》, 서울: 어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