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을 직접 경험한 유계가 인물의 인사가 중요하고 이들의 활동 여부에 따라 정국이 크게 변동된 사실을 목격한데서 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7. 맺음말
『여사제강』은 유배생활을 보내던 시절에 씌어진 사서로써 자강ㆍ자치에 대한 신념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계의《여사제강》이 강목법을 철저히 따르지 않은 것을 불만스럽게 생각하고 100여조의 범례를 두어 한층 강목법에 충실하려고 했다.
임상덕이 재구성한 한국사체계는 통일신라와 고려의 후삼국통일 이후만을 정통(正統)으로 인정하고 고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저술하였고, 1667년에 유계는 ‘여사제강’을 저술하였으며 1759년에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저술하였고, 1784년에 유득공은 ‘발해고’를 저술하였다.
또 1797년에 이종휘는 ‘동사’를 저술하였으며 1797년에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사제강
여사제강은 유계선생에 의해서 편찬되었다고 알려져있다. 주로 다룬 내용은 고려시대를 다루고 있고 고려시대를 간략하게 읽게 하기 위함이 편찬목적이 아닌가 생각된다. 머리말에서도 보여지듯이 고려사에서는 너무 내용이 산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6.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